국재일의 매거진B
08
2022.03
'기장 아홉산 포함, 낙동정맥 휩쓴 화마.. 기후위기 재난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대비해야'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 / 인사이드부산220308(화)
  • 다시듣기
  • Mar 08, 2022
예약여부
즉시

 

출연 :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

 

 

이슈인사이드(월-금, 17:35-18:00, 부산CBS FM102.9MHz)

 

 

 

팟빵에서다시듣기다운로드.jpg

 

 

 

인사이드부산 이어갑니다. 

부산도 그렇구요. 

전국적으로 

산불 피해가 심각합니다. 

건조한 겨울철에

산불이야 어쩔 수 없는 거 아니냐.. 

하실 수도 있는데

이 양상이 예전과는 

많이 다르다고 합니다.

최근 잇따르는 산불을  

기후위기 재난으로 규정하고.

산불에 대한 대비책도 

여기 맞춰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분.. 

이 시간에 좀 만나봅니다. 

녹색연합의 서재철

전문위원 전화로 연결합니다. 

안녕하세요. 위원님

 

 

01. 부산 기장 아홉산에서도 

산불피해가 심각하다. 

전국적으로 산불이 

이렇게 동시다발로 

일어나는 이유부터 짚어보자.  

 

 

02. 영덕 지역

산불 현장에 직접 가 계신다고 들었다. 

상황이 어떤가?

 

 

03. 동해안과 낙동강 유역 내륙을 가르는 분수령인

낙동정맥에 산불이 집중되고 있다. 

부산 아홉산도 여기 속해 있는데..

이게 이유가 있다고?

 

 

04. 소나무숲을 갈아엎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건조한 계절에 산불이 발생하는 거.. 

어쩔 수 없는 순리가 아닌가 싶기도 한데..

최근의 산불은 그 양상이 다르다고? 

기후위기 재난으로 규정하셨다. 

 

 

05. 산불 나면, 당장 눈앞의 불에만 집중한다. 

진화가 되고 나면 금세 잊혀지곤 하는데..

산불이 미치는 영향, 심각성도 좀 짚어보자. 

 

06. 산불 대응..

진화보다 예방이 답이라고 하셨는데, 

예방이 가능한가?

어떻게 대비를 해야 할까?

 

 

태풍이나 홍수, 

산불 같은 천재지변

인간의 입장에서는 

재난이지만 

지구 전체를 아우르는 관점에서는

거대한 순환의 한 

과정이기도 하다.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측면이 있지만

오늘 짚은 것처럼

지금 우리가 맞닥뜨린 산불은

그 순환의 고리 밖에 있다는 점이 

문제다.

좀 더 근원적인 성찰이 

필요한 때라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고민을 

나누면서 오늘은 

마무리해야겠다. 

 

지금까지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이었다. 

 

산불 현장에 

직접 나가 계신데

무엇보다 안전하시길 바란다. 

 

위원님. 경황없는 중에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차재권 / 방송전체듣기220310(목)  

  • 다시듣기
  • /  Mar 15, 2022
  •  

강민정,조경근 / 방송전체듣기220309(수)  

  • 다시듣기
  • /  Mar 09, 2022
  •  

서재철,박지원 / 방송전체듣기220308(화)  

  • 다시듣기
  • /  Mar 08, 2022
  •  

박재호,서종우 / 방송전체듣기220307(월)  

  • 다시듣기
  • /  Mar 08, 2022
  •  

신상해,서종우 / 방송전체듣기220228(월)  

  • 다시듣기
  • /  Feb 28, 2022
  •  

우동준,심보라 / 방송전체듣기220225(금)  

  • 다시듣기
  • /  Feb 25, 2022
  •  

조숙은 / 방송전체듣기220224(목)  

  • 다시듣기
  • /  Feb 24, 2022
  •